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낭떨어지, 낭떠러지 뜻 올바른 우리말 사용법 안녕하세요. 생활속의 생생한 생각입니다. 오늘은 우리말 중에서 낭떠러지와 낭떨어지 중 어떤게 똑바로 사용된 건인지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1. 낭떠러지 vs 낭떨어지결론부터 이야기하면 낭떠러지가 맞는 사용법입니다. 낭떨어지는 잘못된 표현입니다. 낭떠러지가 맞다라는 것으로 끝나면 며칠뒤면 또 잊어버리겠죠? 그럼 세부적으로 조금 더 들어가볼가요? 낭떠러지의 뜻을 살펴보겠습니다.2. 낭떠러지 뜻 및 어원낭떠러지란 깍아지른 듯한 언덕을 이야기 합니다. 예문으로 그는 몸이 천 길 낭떠러지 아래로 떨어져 내리는 것처럼 아득해졌다. 낭떠러지의 옛말인 랑떠?러지는 19세기 문헌부터 나타난다고 합니다. 절벽의 의미인 '랑'과 떠러지가 결합한 합성어인데요. 랑떠러지는 단어의 제1음절 초성에 'ㄹ'이 올 수 .. 더보기 역할 역활 뜻 및 올바른 우리말 사용방법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생활속의 생생한 생각입니다. 오늘은 우리말 중에서 역할과 역활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고 올바른 사용방법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역할과 역활의 경우는 실제로 발음에 있어서는 거의 차이가 없습니다. 물론 잘 들으면 차이가 있겠지만요. 그럼 역할과 역활은 어떤때 사용되는 것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역할 VS 역활역할과 역활중 어떤 사용법이 맞을까요? 결론부터 이야기 하면 역할이 맞습니다. 역활은 틀린 표현으로 보시면 됩니다. 그럼 각자의 뜻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2. 역할의 뜻역할의 뜻은 자기가 마땅히 하여야 할 맡은 바 직책이나 임무를 가리키는 표준어 입니다. 역할의 한자를 살펴보면 부릴 역(役)자에 할은 나누다 할, 벨 할(割)을 사용하는 단어입니다. 비슷하게 .. 더보기 부딛히다 부딧히다 부딪히다 부디치다 부딪치다 차이 및 올바른 우리말 사용법 안녕하세요. 생활속의 생생한 생각입니다. 이번에는 부딛히다와 부딧히다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부딛 부딪 관련해서는 정말 헛갈리는 단어가 많은데요. 제목에도 썼듯이 부딛히다, 부딧히다, 부딪히다, 부디치다, 부딪치다, 부딧치다 등등 받침도 헛갈리고요. '히'인지, '치'인지도 정말 헛갈립니다. 그럼 이제 그 사용법과 의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부딛히다 vs 부딧히다 먼저 부딛히다와 부딧히다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둘다 틀린말입니다. 부딪에는 'ㅈ'이 받침으로 들어가게 됩니다. 따라서 'ㄷ'이 받침으로 들어간 부딛히다나 'ㅅ'이 받침으로 들어간 부딧히다는 틀린 단어가 되게 됩니다. 종종 hit이라는 단어를 해설할때 영어사전에서 부딛히다라고 잘못해석이 되는 경우가 있어서 그렇게 부딛히다라는.. 더보기 오랫만에 오랜만 오렛만 오렛만에 뜻 올바른 우리말 사용법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생활속의 생생한 생각입니다. 오늘은 오랫만에와 오랫만에의 올바른 뜻과 사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랫만에와 오랜만에는 발음이 비슷해서 발음을 틀릴일은 없는것 같은데요. 대신 표기법이 'ㅅ' 이냐 아니면 'ㄴ' 이냐가 다르기 때문에 표기를 할때는 확실하게 알고 올바른 우리말을 사용해야 할 것입니다. 1. 오랫만에 VS 오랜만에 결론부터 이야기하면 오랜만이 맞는 표현입니다 . 오랫만은 잘못된 표현입니다. 2. 오랜만에 뜻 오랜만은 오래간만의 준말입니다. 오래간만의 뜻은 모두가 아시는 것처럼 어떤 일이 있은 때로부터 긴 시간이 지난 뒤의 시간을 이야기 하는 것인데요. 오래간만이다. 오랜만이다. 준말이니 같은 뜻이겠죠? 3. 오랫만에 뜻 오랫만에 방문했다. 오랫만에 여행갔다. 오랫만.. 더보기 잠궜다 잠갔다 뜻 및 올바른 사용방법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생활속의 생생한 생각입니다. 이번글은 잠궜다가 잠갔다의 올바른 사용방법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1. 잠궜다 vs 잠갔다 잠궜다와 잠갔다중 올바른 표현은 잠갔다 입니다. 2. 잠궜다의 뜻 잠꿨다의 뜻은 잠구었다를 줄여서 한 말고 잠구다의 활용형 표현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하지만 잠그다의 의미로 잠구다를 쓰는 경우가 있으나 잠그다만 표준어로 삼는다고 합니다. 따라서 잠구다의 활용형 표현인 잠궜다는 비표준어 입니다. 3. 잠갔다 뜻 잠갔다는 잠그다의 활용형 입니다. 앞서서 말씀드린것처럼 잠그다는 표준어이기 때문에 잠갔다가 맞는 이야기 이고요. 잠그다의 뜻은 여닫는 물건을 열지 못하도록 자물쇠를 채우거나 빗장을 걸거나 하다 물, 가스 따위가 흘러나오지 않도록 차단하다 옷을 입고 단추를 끼우다 등의.. 더보기 할게요, 할께요 뜻 및 올바른 사용법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생활속의 생생한 생각입니다. 오늘은 할게와 할께 어떤게 맞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공부는 내가 알아서 할께 공부는 내가 알아서 할게 어떤게 맞는 사용법일까요? 1. 할께 VS 할게 결론부터 이야기 하면 할게가 맞는 표현입니다. 할께라고 표기하진 않습니다. 할게가 발음상으로 할께로 발음이 될 뿐인거죠. 2. 할께요 VS 할게요. 1번과 마찬가지로 뒤에 요가 붙어도 똑같습니다. 할게요가 맞는 표현이고요. 할께요는 할게요를 발음할때 할께요로 발음이 되는 것이죠. 표기는 할게요가 맞는 표기 입니다. 한글 맞춤법 제53항의 해설을 보면 형식 형태소인 어미의 경우, 규칙성이 적용되지 않는 현상일 때는 변이 형태를 인정하여 소리 나는 대로 적는 것을 원칙으로 삼았다고 하는데요. 그러므로 '-ㄹ꺼나.. 더보기 어따 대고 얻다 대고 뜻 확인 및 올바른 우리말 사용하기 어따 대고 반말이야? 얻다 대고 반말이야? 안녕하세요. 생활속의 생생한 생각입니다. 오늘은 위에 적어드린 것처럼 어따대고인지 얻다대고인지 어떤 것이 올바른 우리말인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어따 대고 VS 얻다 대고 어따 대고와 얻다 대고 중 바른말은 얻다 대고 입니다. 아지만 얻다가 대고라고 사용하며서 어따가 대 2. 어따 뜻 어따의 뜻은 무엇이 몹시 심하거나 하여 못마땅해서 빈정거릴 때 내는 소리라는 뜻도 있고요. 어따가의 뜻으로는 반어적인 의문문에 쓰여, 아주 대단한 어떤 대상에. 화자가 생각하기에 감히 향하지 말아야 할 곳이나 대상에 대해 상대방이 적절하지 못한 말이나 행동을 하는 것을 시비하는 태도로 말할 때 쓰이는데요. 그 예문으로는 어따 잔소리좀 그만해! 3. 얻다 뜻 얻다.. 더보기 왠떡이야 웬떡이야 뜻 및 올바른 맞춤법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생활속의 생생한 생각입니다. 이전에 웬만하면, 왠만하면에 대해서 알아본적이 있었는데요. 간단히 요약하면 웬만하다와 왠만하다를 구분할때는 웬만하다가 올바른 표현이었습니다 . 더 자세한 내용의 경우 아래의 링크를 참고해서 들어가보시면 될것 같고요. 웬만하면 왠만하면 / 웬만 왠만 올바른 사용 안녕하세요. 생활속의 생생한 생각입니다. 오늘은 웬만하면? 왠만하면? 밥좀 잘 먹어라. 라고 할때 왠인지 웬인지 정말 헛갈리는데요. 두 가지의 차이와 정확한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 saing.tistory.com 오늘은 왠떡이야, 웬떡이야 뜻 및 올바른 맞춤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왠떡과 웬떡 중 웬만하다가 맞았기 때문에 웬떡이 맞아 보이는데요. 한번 확실하게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겠습니다...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