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안되의 뜻과 안돼의 뜻을 알아보고 올바르게 사용하기 우리나라 한글은 처음에는 배우기는 정말 쉽다고 합니다. 하지만 정확하게 사용하는것은 정말 어려운 언어임에는 분명한데요. 수십년을 산 한국 사람에게도 헛갈리는 말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 중에 대표적인 안되와 안돼를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안되다 뜻 알아보기 안되다 뜻은 1. 일, 현상, 물건 따위가 좋게 이루어지지 않다. 는 뜻이 있는데요. 예문 : 올해는 비가 너무 안와서 가뭄이 심해 과일 농사가 안돼 큰일이다. 2. 사람이 훌륭하게 되지 못하다. 예문 :학생이 안되기를 바라는 선생님은 없다. 3. 일정한 수준이나 정도에 이르지 못하다. 예문 :이번 시험에서 우리 학교에서 안되어도 세 명은 서울대에 합격할 것 같다. 어? 근데 1번에서 안돼가 나왔는데요. 안되다의 활용형으로 안되어(안돼.. 더보기 어의없다 어이없다 뜻 및 올바른 우리말 알아보기 어이가 없네 하면 가장 먼저 어떤게 떠오르시나요? 저는 유아인이 베테랑 영화에서 했던 대사가 기억나는데요. 베테랑 영화에서 아주 명대사라고 할수 있죠. 그런데 어의가 없네와 어이가 없네중 어떤게 올바른 표현인지 명확하게 알고 계신가요? 과연 어떤게 맞는 표현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어이없네 어이없다 뜻 어이없네의 뜻은 일이 너무 뜻밖이어서 기가 막히는 듯하다라는 뜻인데요. 유의어로 기막히다. 놀랍다. 어처구니없다. 등의 뜻이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어이의 뜻으로는 엄청나게 큰 사람이나 사물을 뜻하는 것도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어이없다나 위와 같은 뜻으로 사용되는것 같습니다. 우리가 베테랑 영화에서 알고 있는 것은 어이가 없네가 맞고요. 어의가 없네는 틀린말입니다. 그럼 어의가 없네 어의없네라는 뜻.. 더보기 해님과 햇님 중 어떤 말이 맞는가? 올바른 우리말 해님과 햇님중 어떤 말이 맞을까요? 실제로 해라는 하나의 단어를 쓰는 경우에는 그냥 해라고 쓰면 됩니다. 하지만 해님이라고 할때는 해님인지 햇님인지 헛갈리는 경우가 많은데요. 정확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아이에게 해님 달님 책을 읽어주었다. 우리아이에게 햇님 달님 책을 읽어주었다. 해님이 나를 보고 방긋 웃는다. 햇님이 나를 보고 방긋 웃는다. 먼저 해님과 햇님의 사전적인 의미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해님 뜻 해님은 명사 해를 인격화하여 높이거나 다정하게 이르는 말을 이야기 합니다. 유의어로는 태양 해 등이 있고요. 실제로 그러면 해님이라는 단어는 맞는 단어입니다. ○ 햇님 뜻 햇님의 경우는 잘못된 표현입니다. 표준어 국어사전에는 명사로 해님을 이야기하고 있는데요. 해’와 ‘님’이 결합하.. 더보기 원활 뜻, 원할 뜻, 원할 원할 차이 및 올바른 맞춤법 원활하다와 원할하다 올바른 맞춤법이 헛갈리는 경우가 많은데요. 이번에는 원활과 원할의 올바른 맞춤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원활은 왠지 발음도 어렵고 실제로 적기도 어려운데요. 이렇게 발음도 어려운 원활을 사용하는게 맞을까요? 그럼 먼저 원활은 어떤 뜻이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 원활 뜻 1. 모난 데가 없고 원만함 예문 : 신입생의 원활한 대학생활 적응을 위해 돕다. 2. 거침이 없이 잘 되어 나감 예문 : 우리나라는 원활한 수출을 위해 대폭 지원하기로 하였다. 그럼 조금 더 확장해서 원활하다의 뜻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래야 원활의 올바른 사용법을 정확하게 알고 넘어갈 수가 있을것 같네요. ○ 원활하다 뜻 1. 모난 데가 없고 원만하다 2. 거침이 없이 잘 나가는 상태에 있다. 그럼 .. 더보기 일체 뜻 일절 뜻 알고 헛갈리는 일체 일절 올바른 구별법 헛갈리는 일체와 일절의 구분법에 대해서 정확하게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일체와 일절의 경우는 글로 적을때 뿐만 아니라 발음을 할때도 확연하게 다르기 때문에 잘못 쓰는 경우 티가 확나게 마련인데요. 이번에 일체와 일절에 구별법과 일체와 일절의 뜻을 알아보고 앞으로는 헛갈려서 사용하거나 잘못사용하지 않아야 할 것 같습니다. ◎ 일체 뜻 알아보기 1. 모든 것 예문 : 이일에 대한 일체의 책임은 너에게 있다. / 철수는 재산 일체를 큰 아들에게 상속하였다. 2. ('일체로' 꼴로 쓰여) 전부 또는 완전히의 뜻을 나타내는 말 예문 : 오늘부터는 장군님에게 군사들을 관할하는 권할을 일체로 맡길 테니, 장군은 군사들을 잘 육성해 주시오 3. 모든 것을 다 예문 : 비행기를 탔을때 사고가 날 수 .. 더보기 깨끗이 뜻 깨끗히 뜻 알아보고 깨끗이 깨끗히 올바른 맞춤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단어중에서 깨끗이와 깨끗히의 차이점과 올바른 사용법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코로나가 만연한 지금 손을 깨끗이 씻어야 한다와 깨끗히 씻어야 한다 어떤게 맞을가요? 발음으로는 편한데 카톡이나 페이스북등에 적을때 여간 신경이 쓰이지 않을수 없습니다. 이번기회에 깨끗이 깨끗히의 올바른 사용법을 알고 실수하는 일을 방지하도록 하고자 합니다. ◎ 깨끗이 뜻 깨끗이는 깨끄시로 발음을 하는데요. 우리가 보통 깔끔한것을 이야기 할때 사용하는 단어라고 볼 수 있습니다. 1. 사물이 더럽지 않게 2. 빛깔 따위가 흐리지 않고 맑게 3. 가지런히 잘 정돈되어 말끔하게 4. 맛이 개운하게 등의 뜻이 있는데요. 일반적으로 깔끔하고 맑다, 그리고 완전히 이런류의 뜻에 사용된.. 더보기 작다 적다 차이 알아보기 작다 뜻, 적다 뜻 올바른 맞춤법 안녕하세요. 생활속의 생생한 생각입니다. 오늘은 작다와 적다의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작다와 적다는 정말 많이 쓰이는 단어중에 하나인데요. 무심코 쓰다가 어떤게 맞지?하고 생각하는 경우가 종종있습니다. 그럼 이시간을 통해서 작다 적다 차이를 알아보고 어떻게 사용하는것이 올바른 방법이며 향후 확실하게 기억할수 있는 방법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작다의 뜻 알아보기 1. 길이 넓이 부피 따위가 비교 대상이나 보통보다 덜하다 예문 : 나는 몸집이 매우 작다, 우리학교 운동장은 작다, 동생은 나보다 키가 작다 2. 정하여진 크기에 모자라서 맞지 아니하다 예문 : 새로산 신발이 나에게는 작다 3. 일의 규모, 범위, 정도, 중요성 따위가 비교 대상이나 보통 수준에 미치지 못.. 더보기 '장이 쟁이' 차이 및 장이와 쟁이 뜻 '난쟁이 난장이' 올바른 사용법 안녕하세요. 생활속의 생생한 생각입니다. 장이와 쟁이의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장이와 쟁이는 자주 사용하면서도 헛갈리는 표현중에 하나인데요. 나는 겁쟁이다. 나는 겁장이다 어떤표현이 맞을까요? 지금 적으면서도 헛갈립니다. 개구쟁이와 개구장이 중 어떤게 맞을까요? 그나마 대장장이는 좀 쉬운것 같은데요. 도배장이? 도배쟁이 어떤 표현이 맞을까요? 허풍쟁이, 허풍장이 어떤 표현이 맞을까요? 정말 헛갈립니다. 이런데서 우리 한글이 어렵다고 하는건가봅니다. 이전에 소금쟁이에 대한 글도 올렸었는데요. 그때는 소금쟁이나 소금장이냐가 아니라 소금쟁이의 여러가지에 대해서 올렸는데요. 생각해보니 소금장이인지, 소금쟁이인지도 정말 헛갈립니다. 이번기회에 확실하게 정리하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소금쟁이 먹이,..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