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맞춤법 알아보기

앳되다 에띠다 애띠다 엣되다 애되다 올바른 사용법 알아보기

앳되다 에띠다 애띠다 엣되다 올바른 사용법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생활속의 생생한 생각입니다. 앳되다 에띠다 엣되다 등 어려보인다는 표현의 올바른 사용법 알아보겠습니다.

 

1. 앳되다 vs 에띠다 vs 엣되다 vs 애띠다 vs 애되다

정답부터 이야기 하면 앳되다가 맞는 표현입니다.

 

앳되다의 뜻은 애티가 있어서 어려 보인다는 뜻입니다.

 

예문으로 너는 얼굴이 참 앳되보여 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럼 앳되다의 다른 표현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로 앳되다는 사투리로 잘못된 표현이 상용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2. 애되다, 애띠다

그럼 애되다 애띠다는 어떤 표현일까요? 

 

앳되다의 의미로 주로 애되다 애띠다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모두 비표준어입니다.

 

애띠다는 앳되다의 충청도 사투리로도 사용되고요.

 

앳디다는 앳되다의 강원도,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 사투리로도 사용됩니다.

 

앳뒈다, 앳데다는 앳되다의 충청북도 사투리로도 사용되고요.

 

하지만 이들은 모두 사투리 이고요. 앳되다만 표준어로 삼고 있습니다.

 

앳되다만 표준어이니 어디에다가 적을 때에는 무조건 앳되다를 사용하시는것이 맞아보이고요.

 

지역에 따라서 발음이나 이야기를 할 때는 애띠다, 앳디다, 앳뒈다, 앳데다 등등 다양하게 사용하셔도 크게 문제는 없을 것 같아보입니다.

 

우리말 헛갈리는 표현을 더 많이 보고 싶으시면 카테고리에 맞춤법 알아보기 부분을 보시면 됩니다. 혹은 아래 주로 많이 찾으시는 헛갈리는 우리말에 대해서 링크로 걸어두었으니 해당부분도 참고해주세요.

 

 

금새 금세 차이 및 금새 뜻, 금세 뜻 정리

안녕하세요. 생활속의 생생한 생각입니다. 이번에는 금새와 금세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금방 순식간이라는 뜻으로 금새나 금세를 종종 사용하는데요. 발음의 길고 짧음은 저희는 아나

saing.tistory.com